아파트 난방비 절약 방법
1. 외출모드의 진실
겨울철 난방비를 절약하기 위해 외출 시 보일러를 '외출모드'로 돌려놓고 나가는 분들이 많습니다. 하지만, 보일러 전문가들은 이 방법이 오히려 '난방비 폭탄'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입을 모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.
외출모드는 보일러 난방수가 얼지 않도록 하는 기능입니다. 보일러는 난방수로 바닥 난방과 온수를 생산하게 되는데 보일러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다면 난방수가 얼 수 있습니다. 외출모드는 펌프를 돌려 난방수를 난방 배관을 따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다가 온도가 극도로 떨어지면 설정된 값으로 난방을 돌려 동파를 막습니다.
외출모드에서 다시 난방을 하려할 때 연료 소비가 많은 것은 개별난방이든 지역난방이든 마찬가지입니다. 보일러 업계 전문가는 외출모드를 사용하게 되면 귀가 후 집이 너무 춥기에 짧은 시간에 실내 온도를 20 후반의 온도로 올리는 과난방이 발생할 수 있어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.
2. 아파트 난방비 절약 방법
외출모드라는 이름 때문에 오해하기 쉽지만 외출모드란 외출할 때 수시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드가 아닙니다. 몇시간 외출하는 정도면 차라리 설정온도를 2~3도 정도 낮춰주는 것이 난방비 절약에 더 효율적입니다. 며칠 이상 외출해야 할 때는 난방비를 조금 더 지출한다 생각하더라도 귀가했을 때 추운 게 싫다면 일주일 이상, 괜찮다면 3일 이상, 하루 이틀 만에 돌아오는 일정이라면 외출모드는 누르지 않는 것이 난방비를 더 절약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정확한 표현은 외출모드가 아닌 동파방지 모드가 정확한 표현입니다. 하지만, 업계에서는 난방수 보일러가 보급되던 초창기 시절부터 외출모드라는 이름을 사용했다고 합니다. 그 당시는 난방비 부담이 현재보다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외출모드의 실제 난방비 절약의 효과를 정확하게 따지지 않았습니다.
주택용 난방요금은 현재 1메가칼로리당 101.57원으로 2022년 기준 약 두 배 수준입니다. 일각에서는 수도꼭지도 냉수 방향으로 돌려놓아야 온수를 사용하는 난방비를 아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, 보일러는 실제로 물이 틀어진 것을 감지하고 온수를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주장은 사실무근입니다.
3. 실내를 빠르게 데우려면?
집 안을 빠르게 따뜻하게 데우고 싶다면 온수샤워는 뒤로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. 보일러는 '삼방밸브'로 난방수가 바닥난방이나 온수생성 중 한곳에만 공급되기 때문입니다. 또 사용하지 않는 방문은 닫고 밸브를 잠가주면 난방 면적이 줄어들어 난방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. 다만, 한파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방의 난방 배관이 동파될 수 있기 때문에 밸브를 조금은 열어두는 게 좋습니다.
단열이 잘 안되는 집의 경우 '실내온도 모드'를 사용하게 되면 보일러가 설정된 온도를 맞추기 위해 계속 가동되기 때문에 난방비 폭탄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. '온돌난방 모드'가 난방수의 온도를 기준으로 가동되기 때문에 난방비 절감에는 더 효과적입니다.
겨울철 적정 실내 온도 설정은 20도 입니다. 각 가정의 환경에 따라 18 ~ 22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 외풍 또는 우풍이 심하다면 창틀을 통해 들어오는 바람을 막아주는 문풍지를 붙이는 게 도움이 되며 보일러는 온돌모드로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. 온돌모드에서의 적정온도는 40 ~ 50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난방비 절감에도 좋습니다.
4. 난방비 절약을 위한 생활 속 실천
이외에도 난방비 절약을 위한 생활 속 실천을 통해 난방비를 더 절약할 수 있습니다.
- 난방을 자주 껐다 켜지 않기
- 외출할 때는 설정온도를 2~3도 낮추기
- 문풍지, 에어캡 등으로 틈새를 막기
- 전기장판 대신 온돌 사용하기
- 옷을 두껍게 입고 냉방병 예방하기
이러한 실천을 통해 난방비를 절약하고, 따뜻하고 건강한 겨울을 보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.
'일상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무인카페 프렌차이즈 창업 비용 절약 팁 (2) | 2024.01.30 |
---|---|
제주도 숙소 한달살기 1달살기 추천 (1) | 2024.01.30 |
소상공인 정책자금, 종류와 신청 방법 총정리(2024년) (0) | 2024.01.29 |
관상학으로 보는 얼굴 관상의 의미 (4) | 2024.01.29 |
여자 눈썹 관상 보는법, 남자 눈썹 관상 보는법 (2) | 2024.01.28 |